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이크로그리드에서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 활용의 최적 전력공급계획 및 부하용량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1일 전체의 전력부하 분포시간대에 적합하도록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의 최적 전력공급계획과 발전용량을 도출하기 위한 시물레이션 분석을 하고 있다. 마이크로그리드는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전력 저장창치인 배터리 및 컨버터로 구성되며 특히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최적 전력공급계획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분산형 전력망에서 태양광발전이 풍력발전보다 더 선호되지 않는 이유는 태양광발전이 풍력발전보다 더 큰 용량의 배터리를 필요로 하여 전력 공급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병행 이용에서 전력비용을 낮추려면 이들 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전력공급계획과 발전용량 설계가 필요하다. 이 자료에서는 결론적으로 마이크로그리드의 구성을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을 병행 이용하고 1일 전력공급량과 발전용량도 거의 같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을 병행 이용하는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일반에게 보급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은 전력 공급시간대가 다르고 기후에 따른 운전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두 가지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마이크로그리드 또는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시도해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의 경제성은 전적으로 생산된 전력량에 달려있지만 최적의 전력공급계획과 최적의 발전용량은 이들 에너지의 자원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인센티브제도, 세금 감면제도 등의 정책 수단들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이들 새로운 소규모 전력망은 벽지의 전기 공급, 고용 창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활용의 지속가능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들도 정책 결정에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저자
Dhanis Woro Fittrin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65()
잡지명
Energy Procedi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8~57
분석자
신*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