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MERS) 백신 개발 현황
- 전문가 제언
-
○ 본 리뷰에서는 현재까지 진행 중인 메르스(MERS) 백신 개발에 관한 여러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메르스 백신의 경우, 약독화 백신 등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아단위(subunit) 백신의 개발 가능성과 실용화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 메르스 백신의 경우, SARS 백신 개발 중에 확보된 과학적 지식들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 SARS 백신 개발에서 확보된 많은 지식들이 메르스 백신 개발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애 요인은 과학적, 기술적 문제가 아닌 상업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다.
○ Chiron을 인수한 Novartis 회사는 SARS 백신의 효능을 실험동물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백신의 사용 이전에 SARS의 유행이 종료되었다. SARS의 재 유행 가능성이 낮으며 발생하는 경우에도, 실제 환자는 백신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보이는 환자 수에 비하여 더 적을 가능성이 있는 등 낮은 상업성 평가로 인하여 백신 개발을 더 이상 진전시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그러나 2015년 6, 7월에 한국에서 발생한 것과 같이 전파성이 강하고 많은 감염자 발생으로 인하여 보건의 문제는 물론,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사건이 반복될 경우에는 개발 수요가 증가하여 상업성의 문제는 해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메르스 백신 개발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메르스의 병원성과 전파성은 알려진 어느 종류의 호흡기 바이러스보다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 이미 재조합 백시니아를 사용하여 개발한 생백신 제품이 사람에서 1상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르스에 대한 인식이 높은 우리나라에서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동에서는 물론 세계 도처에서 메르스의 전파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관리 대책의 하나로 백신의 개발과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이 질병은 대부분 의료 기관에서 발생하고 있어 의료인에 대한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
- 저자
- Naru Zhang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02()
- 잡지명
- Virus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1~159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