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작은 유전체 파편을 사용한 MERS-CoV 변이주의 신뢰성 있는 형(型) 분류

전문가 제언

2015520일 국내에서 첫 환자 발견 이래, 714일 현재 감염자 186, 사망자 36명이다. 치사율 19.35%로 많은 다른 나라에서와 유사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 치사율은 지역과 국가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현재로는 SARS나 다른 어떤 종류의 유행중인 호흡기 바이러스에 비하여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메르스 유행 국가에서는 전파 루트의 규명, 비증세 접촉자에 대한 감염조사, 유행 바이러스의 성상 규명 등 수행해야 할 연구가 매우 많다. 특히 유행하고 있는 자연계 바이러스에 대한 성상 규명과 아울러 신속한 확진시험 방법의 개발, 사용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현재로는 유행 바이러스의 변이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MERS-CoV의 전체 유전체를 서열 분석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본 보고서에서 개발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변이형을 시험하고 있다. MERS-CoV의 스파이크 S2 23,78124,395 내의 특정부의 뉴클레오타이드를 증폭시켜서 PCR 방법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 방법의 사용은 일선에서 신속한 결과를 얻기 위한 예비 실험 방법으로 이후 국가 표준 실험실의 확인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실용성 및 신속성이 확인되어 분리 바이러스의 예비 실험으로 대단히 유용하다.

 

MERS의 검사에는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의 사용이 필요하다. MERS 관련 시험 방법으로는 실제 감염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하여 분자 실험 방법을 사용한다. 검사 대상은 임상적 증세와 MERS 발생지역에 근거한 역학조사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과거의 검사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혈청시험을 사용한다.

 

MERS에 관련된 여러 가지 시험방법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CDC와 같은 관계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는 실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필요한 각종 MERS 관련 시약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각종 대책이 수립, 이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askia L. Smits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64()
잡지명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3~87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