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분비 교란 화학물질 노닐페놀과 결합하는 새로운 단백질의 동정

전문가 제언

내분비 교란물질은 사람을 비롯하여 가축이나 야생동물에 이르기까지 내분비계를 갖는 모든 생물체내에서 정상적인 내분비계의 기능에 변화를 일으켜 번식기능 저하 등 각종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외인성 화학물질들이다. 이들 물질들은 환경 중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면서 소량으로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동물체내에 흡수되어 호르몬과 같이 작용하므로 환경호르몬(Environmental hormone)이라고도 부른다.

 

내분비 교란물질들은 농약, 일반 소비용품, 의료용품, 식품첨가물 등의 원료 또는 이들의 생산과정이나 소각 및 폐기 과정중의 부산물들로서, 세계생태보전기금(World Wildlife Fund, WWF)에서는 68종을,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는 60종을, 그리고 미국 방역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CDC)에서는 48종을 내분비 교란물질로 선정한 바 있으며 이들 기관이 내분비 교란물질로 선정한 물질은 총 103종이 된다.

 

환경부는 위해성기준을 초과하는 4(다이-n-옥틸프탈레이트, 다이이소노닐프탈레이트, 트라이뷰틸 주석, 노닐페놀)의 물질에 대해 어린이용품 내 사용을 제한해 왔으며, 환경보건법을 개정하여 201511일부터 어린이용품에 대해 사용이 제한된 4종 유해물질의 함유여부와 함유량을 표시하도록 했으며, 어린이용품 대형유통업체와 협력하여 시험분석서 확인, 유해물질 함유표시 확인 등을 통해 사전에 상호감시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신은호 등은 예비규제물질인 노닐페놀류의 분석법 개발과 위해성 평가연구 및 전세계 안전규제현황 비교연구를, 이빛나 등은 서울 거주 산모의 초유 중 노닐페놀 분석을 통한 인체노출평가 등 많은 국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특허로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노닐페놀의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 116건이 출원되어 있다.

 

최근 국제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는 중국, 베트남, 필립핀 등에서 생산되는 아디다스, 컨버스, 캘빈클라인, 14개 유명 브랜드의 78개 의류제품 중 2/3에서 노닐페놀 관련물질의 검출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저자
Taiji Ito, Shunsuke Yamazaki, Kazuki Ota, Masashi Ohmura, Seiichi Oyadomar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68(2)
잡지명
日本榮養食糧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3~68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