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로부터 배출된 나노은(Nanosilver)의 환경위험평가에 대한 접근방식
- 전문가 제언
-
○ 천연물질인 은의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 나노은은 강한 항균성, 살균성과 냄새탈취기능성을 지녀 제품, 특히 의류에 많이 활용됨에 따라 나노은의 새로운 응용영역과 연관된 잠재적 환경이슈를 평가할 필요가 있게 된다. “섬유에서 배출된 나노은(Nanosilver)의 환경위험평가에 대한 접근방식”을 주제로 한 본 연구에서는 섬유에서 응용된 나노은에 대한 환경위험평가가 실시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섬유제품의 세척에 있어서 나노은의 배출률이 섬유의 실내 장식품에 좌우되나 선택된 시나리오의 경우 섬유로부터의 환경위험이 관찰되지 않았음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수침전물에서 총 나노은 함량 대한 임계치를 도입하는 것이 권고되고, 잠재적 위험완화조치에 관해 되도록 나노은을 섬유직물속으로 삽입하는 것이 강조되는데, 그것은 세척 중에 나노은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때문이다.
○ 오늘날 오염물질과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인체 및 환경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심각해지고 있다. 나노은은 나노기술에 의한 은입자로 항균성, 살균성 및 냄새탈취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섬유제품, 가전제품, 가구 등 많은 소비재 제품에 활용됨에 따라 인체 및 환경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독성을 나타낼 커다란 잠재적 위험성을 지녀 인체 및 환경유해성을 유발하게 된다. OECD연구에서는 나노은이 유해독성물질로 인해 인체 및 환경에 유해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보고되고 있다.
○ 섬유제품에 응용된 나노은의 인체 및 환경유해성에 대한 환경위험평가가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해화학물질관리 및 평가 기타 환경관련 법규들은 오염물질과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인체 및 환경위해성을 평가하도록 하고 있어 환경위험평가가 환경관리정책의 기본이 되고 있다. 미국법원의 판결은 섬유제품에 이용되는 나노은의 노출을 제한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나노은제품에 대해 환경위험평가를 강화하고 그 생산, 유통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 저자
- Doris Voelke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40()
- 잡지명
- Environment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61~672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