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기물의 에너지화 발전소와 연계한 하수슬러지 건조 공정

전문가 제언

하수 슬러지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근래에 이르러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는 지구라는 위성에 존재하는 천연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위험에 직면한 전 세계적인 대응의 한 방안이라 하겠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책으로 하수슬러지가 가지고 있는 높은 열량과 무기질 자원을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회수하는 방법으로 소각, 열분해, 가스화 등의 에너지 회수 공정과, 유리-세라믹 제조, 인 추출 등의 자원 회수 공정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하수슬러지의 에너지 회수 공정으로는 열분해와 가스화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공정이 경제성을 유지하려면, 투입되는 하수슬러지의 함수율이 낮아야 한다는 점이다. 함수율을 낮추는 데에는 상당한 에너지가 소요되어 이러한 에너지를 어떠한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지가 관건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폐기물 열병합발전소 내에 하수슬러지 건조 공정을 병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함수율이 높은 하수슬러지를 하수처리장에서 열병합발전소까지 수송해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또한 열병합발전소의 기존 공정을 개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하수슬러지를 소각을 통하여 건조하는 공정을, 하수처리장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작은 규모로 만들 수 있다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소각에 필요한 주요 연료는 건조슬러지를 사용하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익하다. 단 소각 후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충분히 DeNOx되고 Bag Filter가 필요 없을 정도로 연소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첨단 연소기술이 필요하다.

 

다행히 이러한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되어 금년 중에 국내의 하수처리장에 설치될 예정이다. 일단 건조슬러지가 경제성을 가지면서 생산되면 이후 과정인 열분해, 가스화, 유리-세라믹 생산, 인 추출 등을 통한 하수슬러지의 새로운 시장이 열리게 될 것이다.

 

저자
A. Bianchin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42()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9~165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