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크롬이 첨가된 파웰라이트 황색 세라믹안료

전문가 제언

오늘날 많은 종류의 합성된 황색 세라믹안료들이 상용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안티몬산납, V-지르코니아, Ni,Sb-루틸, Ni,Nb-루틸, Ni,W-루틸, Ni,V-커시터라이트, Bi-바나듐산염, Pr-지르콘, Cd-지르콘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프라세오디뮴-지르콘(Pr-ZiSiO4)는 맑고 밝은 황색을 띠는 대표적인 합성 세라믹안료로 1961년에 특허가 등록된 바 있고, 이의 상업적 생산은 프라세오디뮴 산화물의 제조가 이루어짐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Pr-ZiSiO4의 대체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본고는 크롬(Cr)을 파웰라이트(powellite, CaMoO4)에 첨가한 황색 세라믹안료(Cr-CaMoO4)의 합성과 특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전통적으로 도자기에 사용되고 있는 유약들과 함께 사용 시, 고상반응법으로 합성된 Cr-CaMoO4은 기존 제품 Pr-ZrSiO4 황색 세라믹안료 보다 약간 낮은 색도를 보인다. 그러나 Cr-CaMoO4의 상업적 이용을 위해서는 물과 접촉함으로 발생하는 Cr6+의 방출과 이동성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광물계 안료들은 경험을 토대로 한 조성이 알려져 왔으나, 결정격자에서의 결정화학과 구조변화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을 채용한 세라믹안료의 합성 연구는 20여 년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은 미국, 러시아, 이태리, 스페인, 일본, 중국, 프랑스 등이 선도하고 있다. 도자기용 Pr-ZrSiO4 황색 세라믹안료의 경우 FOB 가격은 kg$23-65(중국)로 부가가치가 매우 높다.

 

한국은 도자기에 대한 긴 역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라믹안료 대부분이 수입될 뿐 아니라 연구개발 활동도 미미하다. 몇몇 대학과 연구소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있어 왔고, 특히 황색 세라믹안료에 대하여는 2009년에 기초 수준의 연구 보고가 있었을 뿐이다. 국내의 도자기 및 타일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고부가 제품인 세라믹안료의 개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저자
R. Galindo, C. Gaegori, N. Fas, M. Llusar, G. Monro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364~6372
분석자
정*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