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퀜칭법에 의한 우유 내의 멜라민 검출
- 전문가 제언
-
○ 멜라민은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유기화합물로 포름알데히드와 함께 멜라민 수지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2004년 중국 안후이성 동부 푸양시 일대에서 ‘독분유’로 불리는 가짜 분유가 생산, 유통되면서 이를 먹은 유아 50여명이 숨지고 수백 명의 어린이들이 머리 기형, 영양실조 등의 이상증세로 치료를 받았다. 2008년 중국에서 멜라민이 들어간 분유사건으로 2008년 9월 22일에 집계된 자료에 따르면 멜라민이 포함된 제품들로 인해 신장결석이나 신부전증 환자가 53,000명이 발생하였고, 이 중 12,800명은 입원치료를 받고 있으며, 4명의 유아가 사망하였다. 멜라민은 우유에 첨가할 경우 단백질의 함유량을 실제보다 부풀릴 수 있기에 이전에도 종종 사용되곤 하였다.
○ 2007년 초 미국에서 수백 건의 애완동물 사망이 동물음식 오염이라고 발표되어 많은 논란이 있었다. 이는 중국에서 수입한 애완동물 사료원료, 당밀 및 쌀 단백질에 전체 단백질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멜라민을 섞은 것이 원인으로 판명되었다. 멜라민은 시아누르산과 함께 불용성 멜라민 시아누르산염을 형성하여 신장에 쌓여 신장결석을 만들고 신부전증을 유발한다. 미국 FDA는 동물조직의 멜라민 함량분석으로 LC와 MS/MS 분석법을 발표하였다.
○ 국내 판매 과자에서 멜라민이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이 극에 달하고 있다. 그동안 중국산 ‘멜라민 분유’가 홍콩 등 중화권을 중심으로 확산될 때도 한국은 멜라민 안전지대로 인식됐다. 해외에서 일어나는 멜라민 분유 사태는 그저 강 건너 불구경에 지나지 않았으나 결국 국내에서도 중국원료를 사용한 커스타드와 프림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어 멜라민 공포가 인 적이 있었다.
○ 국내 연구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2011)에 생체시료 중 멜라민 화합물의 미량분석법 개발연구에서 문제가 된 생체시료 중 멜라민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즉, 생체시료(뇨 및 혈액) 중 멜라민 및 시아누르산 분석을 위해 단백질 침전법, 액체상 추출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하였고 LC/MS를 이용한 멜라민 최적분석법을 발표하였다.
- 저자
- Carina F. Nasciment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169()
- 잡지명
- Foo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14~319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