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게이트를 사용하는 IoT 기반 건강관리를 위한 SEA 아키텍처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은 IoT 기반 건강관리를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과 허가 아키텍처를 소개한다. 의료 데이터의 안정성과 사생활보호는 건강관리에서 IoT의 수용과 유비쿼터스 사용으로 결정적이다. 원격 건강관리의 안전한 인증과 허가가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이다. 의료 센서의 자원 제약으로 인해 IoT 기반 건강관리에서 전통적인 암호기법을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기존의 IoT에서 게이트웨이는 인증과 허가를 완화하지 않고 사소한 일에만 초점을 맞춘다. 제시하는 아키텍처는 원격 사용자에 대한 안전과 허가를 의료센서로 완화하는 스마트 e-건강 게이트웨이를 분산함으로써 해결한다.
○ 제안하는 아키텍처는 IoT를 위한 주요 IP 안전 솔루션으로 인증 기반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데이터그램 이동 층 안전) Handshake 프로토콜을 내포한다. IoT 기반 건강관리 프로토콜로 제안하는 인증과 허가 아키텍처를 검증한다. 제안하는 아키텍처는 최신의 중앙 집중 기반 아키텍처보다 안전하다. 이는 센서 노드와 스마트 게이트웨이 사이에 보다 안전한 키 관리 스키마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아키텍처의 분산으로 인한 DoS(Denial of Service: 서비스 거부) 공격의 충격은 감소한다.
○ 본 연구의 평가결과는 최근의 다른 아키텍처와 비교하여 통신 오버헤드를 26%까지, 그리고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최종사용자까지의 통신지연은 16%까지 감소한다. 제안하는 SEA 아키텍처는 IoT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위한 스케일러블 하고 신뢰할 만한 안전을 제공하는 매우 촉망되는 솔루션임이 틀림없다.
○ 최근에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변형이 날로 다양해지고 가속화되고 있어 예방과 진료를 통한 건강관리가 당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의 MERSC(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바라보면서 우리나라 예방의학의 허술함을 보면서 놀랍기 그지없다. 우리도 세계 제일의 ICT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본 논문의 SEA 아키텍처와 같은 의료기반 아키텍처 개발에 박차를 기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Sanaz Rahimi Moosav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2()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52~459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