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포장용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계 히드로겔 필름
- 전문가 제언
-
○ 수용성 셀룰로오스의 일종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는 생분해성이 있어 제지, 직물, 식음료, 제약 그리고 화장품 산업의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 포장재로의 용도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고분자들 및 첨가제와의 복합화에 의한 개질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폴리비닐피롤리돈(PVP)-CMC 히드로겔 필름은 생분해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함은 물론 투명하고 유연하며 흡습성이 있고 또한, 공기 투과성도 좋아 채소 및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의 포장재로 주목을 받고 있다.
○ 포장재는 운송 및 제품 보관 중의 열, 수분, 그리고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해 촉진되는 열수열화에 파손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한 데, 흡습성인 PVP-CMC 히드로겔 필름의 경우 PVP 및 CMC 분자 간의 물리적 가교가 열수효과에 대한 필름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정 온도까지는 온도가 상승하면 물리적 가교가 촉진되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은 주목할 만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 PVP-CMC (80:20) 히드로겔 필름이 그 물리적 특성 및 열수 열화(시험조건: 스트레스 10 MPa, 상온, 상대습도 50%)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지만, 실용화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욱 가혹한 저장 및 운송조건 하에도 견딜 수 있는 CMC 계 히드로겔 개발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 체코 Tomas Bata Univ.의 Centre of Polymer Systems에서 관련 연구를 가장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이밖에도 Beijing Forestry Univ.에서 의약품 포장용 carboxymethylchitosan/CMC 히드로겔 필름 관련 논문(2014), 그리고 체코의 Tech. Univ. of Liberec에서 CMC 히드로겔 필름 관련 논문(2012)을 발표했다.
○ 국내에서는 성균관대 식품 생명공학과에서 식품포장용 CMC/Clay 나노복합체 필름 관련 논문(2014), 그리고 생산기술연구원에서 지혈 및 상처치유용 CMC 폼 제조 관련 특허(KO 10-1318421, 2013)를 발표한 것 이외에는 관련 연구개발 활동이 전무하다.
- 저자
- Adriana Gregorov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17()
- 잡지명
- Carbohydrate Polym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59~568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