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펄스중성자 영상검출기 개발

전문가 제언

중성자 이용에 대한 초기연구는 학문적 연구로서 물리학 분야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차 화학, 생물, 공학 분야로 확대되었으며, 그 후 파장이 긴 냉중성자의 확보로 고분자분야로 확대되었다. 공학 분야에서 중성자를 이용하기 위한 응용연구가 활발히 전개되면서 산업계에서도 제품 개발과 평가를 위해 중성자가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중성자 이용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핵 파쇄 반응을 이용한 대형 펄스중성자 시설의 건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피검사체의 내부정보를 비파괴적으로 얻을 수 있는 중성자라디오그래피에는 주로 열중성자가 이용되어 왔지만, 이 외에도 MeV 영역의 고속중성자와 함께 액체헬륨을 통해 에너지가 크게 감속된 냉중성자 등 다양한 에너지의 중성자가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도 열중성자와 냉중성자 이용장치가 설치되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넓은 범위의 에너지를 지닌 펄스중성자(pulsed neutron)는 에너지의 크기에 따라 원소분포 측정 등을 위한 공명흡수 영상, 결정구조 분석을 위한 Bragg edge 영상 및 자기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에너지 영역에서 고강도 중성자의 투과영상을 연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영상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경주 양성자가속기와 앞으로 건설될 기초연구원의 대형 중이온가속기에서의 중성자 이용부문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강도 펄스중성자원에서 확실하게 관련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장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단백질과 단결정 등 거대분자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면적 곡면형 중성자검출기를 개발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고강도 펄스중성자원에 의해 관련정보를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는 영상장치의 개발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Mochiki Koh-ic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2015(730)
잡지명
Isotope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8~12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