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역 환경조건으로 예측되는 연안 해수 내 하수 방류수성분: 조지아해협 사례연구

전문가 제언

연안바다로 유입되고 있는 점오염원에서 발생한 오염물질 관리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방류수의 성분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방류수가 유입되고 있는 지역의 환경조건에 관하여도 충분히 파악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연안의 바다는 육지와 대양의 연결통로로 인근 지역의 에코시스템에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방류수는 연안해역의 지구화학사이클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도시하수는 여러 가지의 오염물질들을 실어 나르는 방류수로 부영양화, 적조현상, 저산소, 저서동물과 어류의 소멸을 이끌고 있다. 폐수방류의 영향은 지역마다 달라 가정 폐수인 인산염은 호수의 부영양화와 적조의 악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특정한 폐수처리의 관리활동이 다른 지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다.

 

본 원고의 목적은 유출수의 유해특성과 지역 유입환경의 조건을 고려한 점오염원방류 영향의 특정 및 종합분석에 관한 청사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시하수 성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구화학적 물질수지를 사용하고 생물학적 공간범위도 평가하였으며, 유입환경에서의 화학적 특성, 순환, 침전 그리고 기후변동성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하수를 2차 처리하였을 경우의 개선 영향과 다른 연안에의 적용에 관하여도 논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국가로 해양오염으로 인한 국민의 생업과 건강 그리고 에코시스템의 영향은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 환경보전법, 해양오염방지법, 하수도법 등의 법률로 관리하고 있지만 특히 유기오염물질, 유류, 중금속과 농약 등, 오염물질의 관리는 물론 연안바다의 정화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Sophia C. Johanness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28~239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