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파이트와 충전 물질을 함유하는 유연성 복합물
- 전문가 제언
-
○ 복합소재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섞어 좋은 물성이나 새 로운 장점을 갖도록 하는 데 의미가 있다. 본 특허의 경우에 있어서도 단일 물질로 되어있는 자연산 그래파이트는 열전도도나 유연성에 있어서 응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충진 물질을 부가해서 혼합하여 결합해주면, 원래 그래파이트가 가지고 있던 열전도도와 같은 물성들은 물론 그래파이트의 유연성도 좋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 본 특허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은 별로 나타나 있지 않다. 그러나 그래파이트를 이용한 각종 재료들이 필요할 시에는 본 특허의 장점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활용할 것을 대비해서 열전도도의 향상이나 유연성을 늘려줄 수 있는 특허권을 강구해둬야 한다.
○ 나노기술의 장점을 살려 새로운 개념의 복합소재를 구현시키는 것은 매우 좋은 방향의 연구이다. 그래파이트를 그래핀의 형태로 바꾸고 새로운 충진 물질을 찾아 첨가한다면 본 특허에서 얻고 있는 장점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복합소재의 장점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섞어서 우수하고 독특한 물성을 나타나게 하는 데 우수한 기법이다.
○ 그래파이트와 그래핀의 차이점을 이용하여 복합물들을 만들게 되면 그들의 차이점으로부터 독특한 물성이 나타날 것이다. 그래파이트의 경우에는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충진 물질을 첨가하게 되면 유연성이 더 좋아질 것이고, 그래핀의 경우에도 열전도도뿐만 아니라 전기전도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나 기계적 성질 등의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날 것이다.
○ 전기?전자제품뿐만 아니라 LED 고안품, 의료용 고안품, 비행 전자시스템이나 자동차 시스템 등에 그래파이트나 그래핀의 유연성 복합물을 도입하게 되면 열전도도나 전기전도도 등 각종 물리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부품들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본 특허에서 나타난 유연성 복합물들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 저자
- NARENDRA, Jeffri, J., FUKUSHIMA, Hiroyuki, RITCH III, Thomas, Griffi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6938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