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의 생육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대한 옥수수 생산량 예측
- 전문가 제언
-
○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외 식량생산량의 예측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농업생산량을 예측하기위한 방법은 1981년 미국이 제2의 녹색혁명 결과인 농작물의 생육모델을 개발하기 전에는 통계적 방법이 유일하였다. 미국 농무성과 환경청이 공동으로 개발한 최초의 생육모델은 수도작(벼) 생육모형이었다.
○ 이른바 RICE-model은 개발된 후 환경보존에도 적용되었다. 이 후 많은 불확실성을 보완하기위하여 하와이 작물연구소(IBSNAT)를 중심으로 개선한 결과 현재 국제적 대표 작물모형으로 사용하고 있다.
○ 이후 미국 농무성은 텍사스의 검은 땅 연구소(Texas Blackland Research Institute)를 중심으로 옥수수, 밀, 완두콩 등 다양한 농작물의 생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초기의 국제무역을 위한 생산량 예측에서 후에는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작물의 품종 개량과 재배지 관리 등을 통하여 적응하는 정책전략으로 바뀌었다.
○ 작물의 생육모델에는 식물의 자양분 과정과 품종의 선택, 단시간에 발생하는 호우와 강풍 등 기상변화 영향, 토양의 화학성분의 영향에 대해서는 컴퓨터 내의 과정에서 생략되어 왔지만 최근 많은 국가에서 연구개발로 개선한 결과 현재에는 크게 실용화하고 있다.
○ 작물의 생산량 변동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기후변동이다. 본 연구에서 광역의 장기간의 변동을 나타내는 기후변화 모델의 결과를 지역적이고 짧은 생육기간을 가진 옥수수의 생육에 적용하여 2021-2050년의 기후에 대한 생산량을 예측한 결과는 현재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작물모형 연구의 중요한 참고가 된다.
○ 전구모델의 결과를 지역모델의 결과로 규모 축소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 있는 GCM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여러 개의 GCM을 앙상블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여 농업생산량을 예측하고 이를 경제적 비용손익 비율로 검토하여야 한다.
- 저자
- Yi Zhang, Yanxia Zhao, Sining Chen, Jianping Guo, Enli 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4()
- 잡지명
- Journal of Applied Meterology and Climat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85~794
- 분석자
- 오*남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