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라믹담체 제조?텅스텐 광미 재활용 기술

전문가 제언

다공성 재질 담체(예: 금속, 세라믹, 실리콘, 비정질)의 하나인 세라믹 재질 담체 또는 세라믹 담체는 활용 분야(예: 폐수 처리기, 정수용 항균 필터, 배기 가스 필터)가 넓은 재료이다. 예컨대, 다공성 무기 세라믹 재질의 구형 입자(Alumina Silicate) 담체는 바깥 면에 TiO2를 부착시켜 광촉매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고 있다.

 

? 이러한 세라믹 담체를 광산 폐기물 광미로부터 제조하는 기술은 담체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고, 폐광미 축적량을 줄여 환경 오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미개척 연구개발 분야에 속한다.

 

환경 오염원인 텅스텐 광미 폐기물의 관리 계획의 하나로 텅스텐 폐광미를 재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텅스텐 폐광미를 지오폴리머 결합재(geopolymeric binder)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지오폴리머 결합재는 새로운 시멘트 재료, 시멘트 대체재, 기술적 예술적 부가가치 제품 등에 사용된다.

 

텅스텐 폐광미에 포함되어 있는 2차 광물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텅스텐 광미로부터 산화 섬아연광(sphalerite) 및 테난타이트(tennantite) 알갱이를 2차 코팅을 통해 캡슐화하는 기술이다. 각 표본의 가장 흔한 코팅은 비결정 또는 나노결정질의 Fe?Zn?As?O 상(phase)이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광미 폐기물 재활용을 통한 세라믹 담체 제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연구가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2015년에 고려대학교에서는 알루미나를 이용한 세라믹 담체를 제조하여 기계적 특성을 연구하였고, 2012년에 경북대학교에서는 산화아연을 이용한 세라믹 담체를 제조하여 소결 거동 및 담체 특성을 연구하였다. 향후에는 산업 폐기물(예: 폐광미)을 재활용하는 세라믹 담체의 제조 기술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저자
Weizhen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7()
잡지명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9~144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