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스처 기반의 근접 디바이스 간 정보교환

전문가 제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시장이 대폭 증가하면서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 기술 역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신규 인터페이스 진입기술의 스마트폰 장착율이 2020년에 스피치인식82%, 진동 햅틱 45%, 제스처 인식 37%, 음성인식 37%, 3D터치 28%, 눈 추적 18% 등의 비율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있다. 제스처와 음성인식이 거의 같은 비중을 보이고 있어 이미 부각된 음성인식의 활용성 대비 제스처인식의 중요도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최근 iOS9을 통해 서비스되는 업데이트된 음성인식기술 Siri에 상황인지나 사용패턴 분석을 통한 연관성 높은 앱의 실행과 추천알고리즘이 사용되는 거와 같이 스마트폰 제스처 제어기술에도 활용될 것임이 분명하다.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기술을 선도하는 애플은 본고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간의 근접 정보교환에 제스처 인식기술을 활용하려 하고 있다. 면밀한 동태 파악과 추적이필요하며 메커니즘 연구가 필요하다.

 

제스처 제어기술은 가속도, 빛, 음파, 전자기파 등을 기반으로 하며. 향후 제스처 및 동작제어 기술은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등이 통합된 9축 센서와 3D 인터페이스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 가속도 센서 기반의 착용디바이스를 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스처 인터페이스 기술개발에 대한 국내 산학연의 분발과 실질적 개발내용에 대한 사후관리가 필요하다.

 

특허 검색 키워드 (gesture*detection)*smartphone 를 기준으로 2015년 현재의 과거 10년간 출원국별 특허 공개건수는 144건으로, US 81건(56%), PCT 41건(28%), EU 13건(9%), 캐나다 8건 한국 1건 등이다. US 81건 중 주요 출원자는 퀄컴 16%, MS 10% 등이며 AT&T, 인텔 등이 특징적이다. PCT의 41건 중 최근 퀄컴, MS의 비중이 50%이상이며 최근 두 big player의 적극적 기술개발이 특징적이다. 상대적으로 애플과 구글은 공개건수가 적다. EU에서의 특허출원은 RIM과 블랙베리, 삼성이 77%를 점하고 있다. 기술동향 파악과 함께 세부 내용의 실질분석이 요구된다.

저자
APPLE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94220
잡지명
PC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1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