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이미지에 감성상태 및 생체인식 정보의 태깅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카메라와 비디오 대비 스마트폰에 의한 이미지 촬영이 증가하고 있고 EXIF와 GPS 태그 등 이미지파일에 연동 저장되는 메타데이터의 이용방법이 다양화되고 있어 이미지의 검색, 저장, 조합 역시 증가하고 있다. 기존 이미지 태깅 기술과 비교할 때 본고에서와 같이 카메라 및 비디오기기와 모바일 기기에서 실시간으로 촬영 주체 및 객체의 감성 상태 및 생체인식 정보가 분석되어 촬영 이미지와 같이 저장 및 분석, 사후 검색되는 메커니즘이 특징적이며 기술적 및 상용화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에서 제시된 감성상태 정보 및 생체인식 정보의 평가와 매치 알고리즘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으나, Microsoft는 이미 이미지 및 사진을 문장으로 표현하는 이미지 자동인식기술, 무선센서를 통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스트레스 추정 기술을 발표 했고, Build 2015 에서 나이와 성별 등 메타데이터를 평가 및 판단하는 어플(howold.net)을 발표하는 것으로 미루어, 본고의 슬픔, 화 행복 관련 감성 상태와 생체인식 평가 및 매치 알고리즘도 선행 개발기술을 토대로 한 진전된 알고리즘으로 판단된다. 신규 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산학연의 연구 개발 가속화가 요구된다.
○ 감성인식 및 처리기술이 스마트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술의 핵심기술로 발전하면서, MIT, MS, NTT 도코모 등 세계적 연구기관들은 감성융합기술을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본고의 기술은 생체, 영상, 음성 중 영상부문의 감성인지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감성인지기술부문에서는 얼굴표정 인지분야에서 기본 감성의 확장 연구와 감성분류 및 분석관련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MS는 키넥트 이후 생체신호와 안면영상분석을 통한 감성인지기술의 게임제품 적용이 적극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기술 갭 해소방안 발굴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 감성 ICT 융합산업의 세계시장규모는 2015년 9천억 달러에서 2020년 1조 4천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 전망이 있다. 국내도 24조원에서 38조원수준으로 증가전망이 있으므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및 법규 제정, 감성정보처리 표준화를 추구하고 분야별로 글로벌 사업화의 구체적 실천계획 수립과 드라이브가 필요하다.
- 저자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9458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9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