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이크로 적층 압출기술(2):LDPE와 LLDPE-g-MA/Organoclay 다층 나노복합재료

전문가 제언

이 분석물은 마이크로 적층 압출기술 시리즈의 두 번째인 LDPELLDPE-g-MA/Organoclay 다층 나노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다. LDPE층과 LLDPE-g-MA/Organoclay 층이 교대로 되어 있는 다층 복합 필름을 제조한 후 고분자-고분자 상호확산현상을 이용하여 LLDPE-g-MA/ Organoclay 층의 클레이 농도를 높임으로써 가스 차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고분자-고분자 상호확산 현상의 실질적인 응용이다. 나노복합재료에서는 가공 시 용융점도의 상승 때문에 많은 양의 충전재를 도입하기가 어려워, 원하는 만큼의 물성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가공 상의 어려움을 상호확산이라는 현상을 이용하여 극복함으로써 물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 연구의 또 다른 핵심적인 아이디어는 나노복합재료 층에 적용되는 고분자의 선택이다. LDPE가 필름 구성의 일차적인 재료선택이라면 LLDPE-g-MALDPEOrganoclay를 고려한 재료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분자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한 LLDPE를 택함으로써 상호확산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여기에 MA를 곁가지에 도입함으로써 Organoclay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마이크로 적층 압출기술이 아니더라도 357층 등의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것은 상업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국내에서도 이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성 필름이 생산되고 있다. 마이크로 적층 압출기술의 강점은 층의 수를 수십, 수백으로 용이하게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멀티플라이어의 적절한 설계와 실질적으로 유용하면서도 가공특성이 유사한 고분자 쌍을 조합하는 것이 성공의 관건이다.

 

비록 국내에서는 이와 유사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마이크로 적층 압출기술에 대한 인지도는 낮지 않다. 마이크로 적층 압출기술의 기술발전 추이에 대한 관련 기술 산업계의 꾸준한 관심이 요구된다.

 

저자
Jeremy J. Deck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1()
잡지명
Polymer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2~54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