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현장의 새로운 모습 - 인간공존/협조 로봇
- 전문가 제언
-
○ 생산라인에 로봇도입의 진화과정을 보면 단순 반복작업 → 로봇 간 협력작업 → 인간-로봇 협력작업 → 독자작업 지능화 단계를 거치고 있는데 최근 10여 년 동안 일본과 유럽을 중심으로 “인간-로봇협조 시스템”기술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는 추세다. 이 자료는 일본 Kawasaki중공업 기술진이 개발한 인간-로봇협력 생산시스템 사례를 보여준다.
○ 이 자료에서 제시하는 인간협조 로봇의 생산라인 도입배경은 안전기술 확보에 따른 ISO, IEC 등의 국제규격화와 유럽 등의 제도 도입, 경제효과(생산성 향상, 설비코스트 저감), 중소기업의 생산라인 적합성, 선진국의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력문제해결에 기여와 신흥공업국의 유망한 수요증가 전망 등에 근거한다.
○ EU의 제6차 Framework 프로그램에 의한 중소기업지원용 SME 프로젝트로 Fraunhofer IPA(생산기술연구소)의 파워메이트, Rob@Work, DLR(독일 항공우주연)의 Light-weight arm, 이탈리아 Prisma Lab.의 양팔작업 로봇, 로봇전문기업 KUKA, ABB, COMAU 등의 인간공조형 로봇개발 등 다양한 사례들이 발표되었다. 또한 21세기 진입 후 NEDO 프로젝트로 인간협조 공존형 로봇 프로젝트(HRP)에 투자한 일본 역시 산학연의 요소기술 개발과 산업응용 확산이 주목받고 있다.
○ 국내에서도 인간-로봇 공존 로봇과 시스템연구가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꾸준히 이뤄져왔다. 이 중에서 한국기계연구원 로봇연구진의 “인간-로봇 협업기술” 연구는 인간-로봇 협업을 위한 콤팩트한 로봇설계/제작기술, 인간-로봇 협력을 위한 직접교시 및 재현 알고리즘, 통합안전기술 개발에 관한 것으로 향후 산업응용이 기대된다.
○ 최근 센서기술의 발전에 따라 로봇이 인간작업 영역의 대체가 증가하는 추세다. 생산현장이 완전자동화를 추구하면 방대한 도입코스트를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는 많이 존재할 것이다. 또, 고령화 사회의 노동력 보완을 위해서도 본문에서 제시한 핸드가이드로봇 등 인간협조 로봇의 중요성이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 저자
- KAMON Kasayuk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2015(223)
- 잡지명
- ロボッ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7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