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축 제어 머시닝센터의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근래 미국, 유럽, 일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중국 등 국제적인 공작기계전시회에서 출품되는 대표적인 주류기종이 5축제어 머시닝센터다. 원래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5축제어 머시닝센터는 주요국들의 자동차와 전자부품 산업계에서 대거 도입되는 추세다. 이 자료는 일본 메이커의 동향을 종합한 내용이다.
○ 5축제어 머시닝센터의 수요증가는 부품생산에서 절삭수요의 증가추세에 기인한다. 이와 함께 절삭공구의 고속·고정밀 절삭에의 대응, 고성능화, 절삭정밀도 향상 및 공구수명의 연장추구에 따라 고속밀링에 대응한 머시닝센터의 수요증가, CNC제어의 고기능화, 운전자동화의 실현 등이 5축제어 머시닝센터 도입을 촉진하는 배경이다.
○ 이 시스템은 3축제어에 비해 XYZ 축 외에 회전계의 2축이 추가되기 때문에 가공정밀도 과제가 있다. 이는 회전축과 직동축의 부정합이나 회전축 자체의 기울기 등 기하학적 여러 오차가 원인으로 이를 조정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관련 메이커들은 전용 보정기능을 개발응용하고 있다(예: 일본 OKK사의 A5system).
○ 5축제어 머시닝센터는 최근 대형부품으로부터 소형부품 정밀절삭용으로 기종이 증가하고, 최고 주축회전수 및 이송속도와 민첩한 대응특성, CNC장치 등의 추구로 고성능화가 진행 중이다. 가공부품의 형상, 가공재료, 기공물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입형, 횡형의 수요맞춤형 타입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 국내 머시닝센터기술은 주요국에 비해 주로 고속화, 지능화, 가공대상 소재분야에서 열세에 있고, 특히 주축과 이송계 분야에서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근래 국산공작기계가 수출효자의 입지를 다진 것처럼 관련 산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차세대가공시스템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력 격차를 단축하기 위한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국제 공작기계전시회에 경쟁력 있는 국산 5축제어 머시닝센터의 등장을 기대해본다.
- 저자
- MATSUOKA Toshita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3(5)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3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