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에 있는 리스테리아균의 신속한 검출과 동정방법

전문가 제언

이 연구에서는 식품 매개 질병의 하나인 리스테리아 감염증을 유발하는 리스테리아균을 검출하고 동정하는 방법에 대해 리뷰했다. 리스테리아균은 날음식과 가공식품에서 발견된다. 특히 즉석섭취(RTE)식품은 리스테리아균 감염원이 된다. RTE 식품은 진공이나 조절공기로 충전하여 저온에 보관하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길고 보통 별도 조리 없이 섭취되기 때문에 식품 안전에 문제가 된다.

 

리스테리아균은 넓은 범위의 pH와 오스몰 농도, 저온, 호기 및 혐기 조건에서 증식할 수 있으므로 특히 우려되고 식품 체인에서의 억제가 필요하다. 식품 중의 이 병원균 검출과 정량에 다양한 종류의 배양과 대안 방법이 개발되었다. 신속하고(<48h) 민감한 방법이 이 리뷰에 제시된다. 그러나 많은 방법은 더 완전히 검증될 필요가 있다.

 

국내의 리스테리아균 연구는, 식품 가공과 유통 중에서 이 세균 검출이 비교적 많고, 간이 진단 키트, 광학식 바이오센서, 광도파로 바이오센서 시스템, 복굴절 도파로 기반의 집적 광학 바이오센서, FRET-기초한 새로운 바이오센서 외에도 많은 검출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이와 관련된 실용특허로는 임피던스 바이오센서 및 검출방법, 리스테리아 속 균종을 검출하는 방법 및 검출키트, 리스테리아균을 선별적으로 인지하는 단클론 항체와 검출키트, 식중독 병원균의 동시검출용 프라이머와 용도 외에도 다수가 등록되어있다. 또한, 이 세균에 대한 동향과 연구 보고서도 많다.

 

증 식품 시료의 RT-PCR 기초한 검출은 검출한계에서 표준배양방법에 필적한다. 여러 신속방법이 식품 기질에서 검증되어왔지만, 논증에는 다소 부족하여 더 많은 평가가 필요하다. 신속검출에 유망한 센서-기초한 방법의 검출한계 증진이 필요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좋은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Anna-Liisa Valimaa, Anu Tilsala-Timisjarvi, Elina Virtan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5()
잡지명
Food Contro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03~114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