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D2D 시스템에서 암호화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기술

전문가 제언

이 특허기술의 핵심사항은 로컬 네트워크 내 다수 모바일 스테이션의 연결설정 요청신호를 MSID(Mobile Station ID)로 식별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이다. 이는 불법(악의적인) 사용자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로 판단된다. 다만, 이러한 검증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프로세서들이 필요하여 네트워크 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할 수도 있어 이를 좀 더 간단화 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기지국 내 많은 사용자의 ID 연결설정 요청에 대해 보안 에이전트 그룹의 인증절차를 거쳐 암호화키에 대응하는 사용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응답 신호를 통해 링크를 확립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인증시스템은 기존의 보안인증 인프라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구현할 수 있어 국내 모바일 네트워크의 사용자인증 및 보안 인증 분야에 파급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IDC의 보고에 의하면, 2014년 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시장은 전년대비 7.6% 성장한 3,386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보안정보 및 이벤트 관리(SIEM)와 통합보안관리(ESM)와 같은 솔루션이 포함된 보안 및 취약점 관리(Security &Vulnerability Management) 시장이 약 13%대의 성장세를 기록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인 사용자인증 기법을 적용한다면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CNN에서는 스마트TV와 냉장고를 이용하여 스팸메일을 발송하는 사이버공격 사례를 보도한바 있다. 이는 가전기기를 연결한 사물인터넷의 보안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020년까지 사물인터넷(IoT) 망에 연결 가능한 기기는 2,000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스마트 가전제품은 스팸이나 바이러스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의 보안관리 방식으로는 IoT 보안위협을 막아낼 방법이 없다. 향후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사용자인증 등 고도의 보안기법이 요구된다.

 

저자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055257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5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