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비열 플라스마 발생원의 살균효과와 미생물 불활성화의 실험조건 영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 대기압에서 비열 기체 하전을 이용해 미생물을 불활성화하려는 연구 노력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여러 연구자가 제기한 서로 다른 견해와 이들 결론에 이르는 이유가 검토되었다. 또한, 몇몇 총칙이 요약되고 중요 인자를 예측하는 수리모델의 필요성이 검토되었다. 플라스마 적용의 미래 전망도 요약되었다.
○ 이 리뷰에 인용된 국내 저자 논문은, “펄스 부전도성 장벽 하전에 의한 살균 효과 분석, Choi, J. H. et. al., Journal of Electrostatics 64(1), 2006”, “접지-링이 있는 대기압 단일-핀 전극 마이크로플라스마 제트를 이용하는 세균 불활성화, Kim, S. J.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94(14), 2009”, “액체용액에서 세포 처리용 대기 플라스마의 화학적 역학 모델링, Kim, H. Y. et. al., Physics of Plasmas 19(7), 2012”, “대기압 플라스마제트에 의한 세균 내포자 살균, Uhm, H. S. et. al., Applied Physics Letters 90(26), 2007” 등이다.
○ 최근 국내에서 연구된 논문은 “친환경 저온 플라스마 장치의 개발과 하수 및 염색폐수 고도처리에 대한 연구”와 “대기압 플라스마의 생물 의학에 응용” 등으로 뜻밖에 적으나 플라스마 발생장치에 대한 특허는 다수가 등록되어 있다.
○ 플라스마를 이용해 세균을 불활성화하는 방법 연구는 친환경적인 식품원료생산과 식품의 안전성 증진에 필요하며 전망도 밝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는 않은 것 같다.
○ 표준화된 실험방법과 다양한 요인(실험조건과 플라스마 발생)을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이 설정되어야 한다. 플라스마와 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정확한 기전이 밝혀지면, 농업생산과 식품안전을 증진하는 최적의 플라스마 시스템이 개발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Jian Guo, Kang Huang, Jianping 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0()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82~490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