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 염색의 지연제인 양이온 에스테르계 제미니 계면활성제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 결과, 양이온 제미니 계면활성제의 알킬 꼬리에 에스테르 결합은 염색 공정에서 중요한 저지 작용의 역할과 억제 작용의 감소를 시사 하였다. 아크릴 섬유의 양이온 염료 흡착은 변형 Cegarra-Puente 경험적 모델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활성화 에너지 값에 따르면 섬유에 염료 확산은 사용된 제미니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화학적 구조와 그것의 농도에 좌우되었다.
○ 섬유의 염료 흡착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한 지연제를 사용하여 염색 공정 초기 단계로부터 염료 흡착률의 조절이 중요하다. 지연제로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면 염색률이 저하되고, 완전한 염료 흡착에 필요한 시간이 지연되었다.
○ 제미니 계면활성제는 낮은 CMC와 높은 표면장력의 저하 기능 및 물에 대한 좋은 용해성 등 제미니 계면활성제만의 독특한 물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그 계면활성제는 현재 차세대 계면활성제로 간주되어 그에 관한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와 관련되어 최근에 발간된 국내 학술 논문으로 “2-메틸숙신산을 이용한 에스테르계 제미니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2013)”, “제미니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합성 및 Spacer 길이에 따른 물성(2014)”, “글리콜산 에스테르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물성(2014)” 등이 있었다.
○ 계면활성제의 최근 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환경에 대한 독성과 낮은 생분해도를 가진 기존의 계면활성제에서 환경 친화적인 계면활성제의 합성과 기술의 개발로 관심이 옮겨졌다. 그 결과, 고기능성이고, 소량으로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높은 안정성을 보유한 새로운 계면활성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알코올 존재 하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에 대한 연구, 생분해성 고급 지방산을 사용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등이 연구되었다.
○ 원료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완제품을 만드는 대기업들도 독자적 계면활성제 원료의 개발과 특허 출원으로 차별화된 품질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 저자
- Mousa Sadeghi-Kiakhani and Ali Reza Tehrani-Bagh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479()
- 잡지명
-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2~59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