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집파리 구더기에 의한 돈분의 퇴비화

전문가 제언

집파리구더기를 유기성폐기물에 투입, 번식시켜서 사료와 유기비료를 생산하는 집파리구더기 퇴비화처리시스템은 각종 유기성폐기물에 집파리구더기 최적 서식조건을 유지하여 유기성폐기물을 퇴비화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전처리, 폐기물 컨베이어, 구더기 배양, 구더기 가공, 보조사료(구더기) 및 유기비료(구더기 처리된 퇴비) 생산, 멸균과 소독, 포장배송 등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집파리구더기 퇴비화는 유기성폐기물 처리량 증대, 처리시간 단축, 처리공정 단축과 자동화, 사료와 유기비료의 대량생산 및 안정된 위생처리가 가능, 사료와 유기비료 생산비용 절감 등의 특성이 있다.

 

유기성폐기물 퇴비화 과정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미생물이 공생과 기생하는 관계로 먹이사슬을 이루며 서식하고 있다. 혐기성유기성폐기물에 집파리의 발생으로 인한 구더기는 폐기물의 이분해성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동 매체가 되고, 함께 발생된 진드기는 파리와 선충수를 제거한다. 이러한 구더기와 진드기는 곰팡이를 포식하기도 한다.

 

집파리가 옮긴 진드기 중에는 파리 알과 선충을 먹는 종류가 있어 파리와 선충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퇴비화 후기에는 개미와 지네 등이 원생동물과 선충을 포식하여서 세균, 방선균 등의 격감을 방지한다.

 

퇴비화 초기에는 중온성미생물이 이분해성유기물을 분해하여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이후에 고온성미생물이 활동하게 되어서, 유기물 내부에 존재하는 유해균이 사멸되면, 안전하고 위생적인 퇴비가 생성된다.

 

우리나라는 아직은 집파리구더기 퇴비화 연구개발 사업이 미흡하나, 지렁이 퇴비화 사업보다 부차적인 효과가 크고, 처리공정의 연속성이 편리하여, 지역폐기물바이오매스 퇴비화사업에 활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저자
Feng-Xiang Zh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35()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2~67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