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멘트공장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하수슬러지 처리방안의 비교

전문가 제언

인구증가와 함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하수처리장의 증가로 잉여 슬러지도 증가해서 세계적으로 이들의 처분이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처분비용이 하수처리장운영비의 4050%를 차지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영향도 크다.

 

하수슬러지의 고형성분은 주로 바이오매스이기 때문에, 이를 바이오가스로 전환시켜 연료로 전환시키는 방법 외에도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또는 수소가스 등 고급연료로 전환시키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잉여슬러지의 처분방법은 하수처리장의 환경에 따라 선정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하수처리장으로부터 80이내의 거리에 있는 시멘트공장의 원료 또는 연료로 잉여슬러지를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하수처리장 잉여슬러지의 무기물질은 주로 SiO2, Al2O3Fe2O3로 구성되기 때문에 시멘트원료의 규산질과 유사하고, 유기물질은 주로 바이오매스이기 때문에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잉여슬러지를 시멘트공장의 고형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슬러지에 농축, 건조 등의 탈수과정을 적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기계식 탈수와 생물응집과정의 D1, 혐기성소화와 탈수의 D2, 혐기성소화와 열 건조의 D3 그리고 탈수와 열 건조의 D4 등 네 종의 시나리오를 비교 검토했다.

 

이들 중에서 에머지 수율에서는 D3>D2>D4>D1 순서이고, 유해가스배출에 의한 인체건강손실은 D2>D1>D3>D4 순서이었다.

 

국내에서도 다량의 잉여슬러지가 발생해서, 기계식 탈수 및 열 건조를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하수처리장 잉여슬러지처리는 하수처리장과 주위 환경에 따라 검토되어야 하므로, 가능한 사용방법을 대상으로 에너지, 유지관리비용 및 환경영향에 대한 전과정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저자
Gengyuan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03()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71~383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