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수입 치즈에 함유된 아민류
- 전문가 제언
-
○ 암모니아의 수소 원자에 치환되는 유기 원자단의 수에 따라 모노아민, 디아민, 트리아민 또는 폴리아민이라 한다. 생체에서 합성되는 대표적인 아민은 인체 내 장내 세균에 의해 생산되는 물질에는 cadaverine, agmatine, histamine, tyramine, putorescine, spermine, spermidine 등이 있다. 최근 spermine, spermidine 등 폴리아민은 생활습관병 예방과 항 노화 기능성 성분으로 주목받고 있다.
○ 폴리아민(polyamine)은 혈압 조절, 식욕 억제, 기억 학습 능력의 향상 등 생리 작용도 있고, 그 양에 따라 독이 되기도 하고, 기능성 성분이 되기도 한다. 아민류는 발효식품 중에 많이 존재하는데, 폴리아민은 일본의 낫토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하루 50∼100g 섭취하면 회춘한다고 보고되었다.
○ 본고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소비량이 증가하는 치즈를 중심으로 아민 함량분석 결과를 소개하였다. 수입치즈에서 히스타민 0∼260mg/100g, 티라민 0∼217mg/100g이지만, 일본산 치즈에서는 검출되지 않고, 낫토 에서는 히스타민, 티라민이 0.01mg/100g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 히스타민은 Codex 규격에서 어류의 신선도로 10mg/100g 이하, 위생기준으로 20mg/100g 이하로 정해져 있지만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표시사항으로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는 오랜 식 경험에 의해 무해로 입증된 사실이며, 다만 히스타민 불내성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 식에는 표시가 필요하다. 치즈와 히스타민 관련 국내 연구로는 치즈에 축적된 생체 아민의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천정환 등, 2014), 장류 중 바이오제닉 아민 저감화(황한준, 2008) 등이 있으나, 폴리아민에 대하여는 보고가 적은 편이다.
○ 치즈는 건강과 장수에 공헌하는 발효식품으로 지중해식에는 폴리아민(spermine, spermidine)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되었고, 일식인 낫토에 폴리아민이 많이 함유된 보고가 있으므로 청국장과 된장, 젓갈 등에 함유된 폴리아민을 비중 있게 부각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Sumi Hiroyuk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7(2)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7~32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