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빅 데이터를 활용한 건물 에너지성능 평가

전문가 제언

최근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에 의한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집합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빅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이 기술이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에너지관리분야도 ICT 기술이 에너지효율향상 및 온실가스감축 등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건물에 대한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이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건물에서 에너지소비가 전체 국가의 에너지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물성능을 평가하는 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지만 전국적인 주택건물 및 상용건물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에너지정책이나 성능향상을 위해서는 여러 형태로 산재하고 데이터 소스도 다양하고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취급하는 데는 상술한 빅 데이터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사례연구로 DOE(미국 에너지부)BPD(Building Perfor-mance Database: 건물성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는데 요구되는 기술적 사항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조사연구는 국내 주택 및 상용건물에 대한 빅 데이터 구축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에너지 절약계획과 건물성능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빅 데이터 시장규모는 2010년부터 연평균 25.1%씩 성장하여 2015년 약 263백만 달러를 예측하고 있다(KISTI, 2013). 부문별로 보면 빅 데이터 서비스 부문이 약 123백만 달러로 59%, 소프트웨어 부문이 약 47백만 달러로 23%, 하드웨어 부문이 약 38백만 달러로 18%를 차지하여 국내의 경우 서비스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2013년 기준 빅 데이터 핵심기술의 해외기술과 격차를 보면 수집관리기술은 평균 2, 연산처리 기술은 34, 분석분야 또한 2년 이상 기술격차가 있어 이를 줄이기 위한 정부 차원과 산학연의 노력이 요구된다.

저자
Paul A. Mathew,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140()
잡지명
Applied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5~93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