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물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은 도전성이 필요한 압출 플라스틱 시트, 성형품 또는 그 외의 플라스틱 물품을 만드는 데 유용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 복합물 및 그것으로 만든 물품에 관한 것으로 PC 매트릭스와 매트릭스에 복합물의 0.1∼10wt%로 분산된 종횡비(aspect ratio)가 10:1∼10,000:1인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지며, 20,000×배율로 관찰할 때 탄소나노튜브의 응집이나 집적이 관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 Sabic, Bayer 등 세계적으로 많은 업체들과 국내의 삼양화성, LG화학, 호남석유화학, 제일모직 등 4개 업체가 상업 생산하고 있는 PC는 우수한 광학적 특성,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 안정성뿐만 아니라 사출 및 열성형성이 우수하여 휴대폰, 노트북 등의 전자제품 외장재와 LCD TV용 광학소재, 자동차소재, 건축소재를 비롯하여 의료용과 멤브레인 등 다양한 분야에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다.
○ 비전도성 고분자 수지에 금속이나 탄소입자 등을 혼입시켜 도전화하여 전자파 차폐,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도전성 고분자 복합물(체)은 종래부터 시도된 기술로 작은 입자크기, 큰 전기전도도 높은 종횡비의 충전제를 이용하여 도전 효과를 높이며 이 발명에서는 충전제로 도전효과를 높일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를 PC에 분산시켜 20,000×배율에서 응집이나 집적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 탄소나노튜브는 산업화 초기에 있는 유일한 나노소재이며 이 발명에서도 인용한 바와 같이 국내의 경우 한화나노텍을 비롯한 다수의 기업에서 탄소나노튜브 소재를 개발 판매하고 있으며 대기업을 비롯 다수의 중소기업에서 고분자에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켜 금속대체소재로 개발을 완료하여 반도체를 비롯한 자동차 분야에 적용하고 있어 이 발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 탄소나노튜브 시장은 고분자 복합소재를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되나 해외에서도 초기 단계로 단 기간에 큰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소재의 하나로 금후 자동차, 전자 산업과 화학 및 소재산업 간의 협력을 통한 기술개발력 제고가 요망된다.
- 저자
- Polyone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8103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