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조향조작 개선을 위한 트윈 레버 조향장치
- 전문가 제언
-
○ 최근 자동차주행 안전성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MI(Human and Machine Interface)의 개발의 예로 운전조작 상에서의 조향(Steering)이나 페달, 변속도 인간과 기계 간의 인터페이스이고, 광의로 말한다면 이들의 인터페이스가 배치되어 있는 콕핏(Cockpit) 그 자체가 인간과의 인터페이스이며, 콕핏 부품의 배치나 성능에 따라 안락운전이 가능하며, 운전피로감을 감소시켜 주행안전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이런 콕핏 부품 중에서 운전안전에 가장 중요한 부품인 조향장치(Steering System)를 운전경험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운전자의 의사대로 보다 안락하고 조작제어가 쉬운 전후교호(交互)조작 조향시스템 TLS(Twin Lever Steering)를 개발, 최고속도 370km/h 이상에 횡 가속도 4.5G 이상을 선회하는 서키트 테스트와 시판 차에 TLS를 탑재 일반 운전자에 의한 실 주행 테스트를 한 결과 좋은 성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 콕핏도 모듈화 되어 부품 가지 수의 축소와 운전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콕핏 모듈은 주로 경주용 레이싱 카를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지만, 유럽을 비롯하여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승용차에의 모듈화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나라 자동차 메이커에서의 콕핏 모듈에의 TLS의 적용 사례는 적다.
○ 자동차산업의 국제경쟁력은 성능을 우선하여 가격경쟁이 치열하다. 치열한 경재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이 우선이고, 기술개발 중 부품의 모듈화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모듈화는 부품의 가지 수 감소는 물론 생산 공정의 축소도 가능하여 차량경량화와 가격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 저자
- Takamitsu TAJIM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9(3)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52~56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