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틴(chitin) 나노섬유의 기능성식품에 응용
- 전문가 제언
-
○ 키틴(chitin)은 게, 가재, 새우의 껍질, 균류, 곤충류의 외골격 등에 함유된 글루코사민이 1, 4로 결합된 천연 고분자다당류로 D-글루코사민이 5,000개 이상 반복적으로 결합하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탄수화물이다. 천연에는 나노섬유(nanofiber: NF)가 여러 층으로 겹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키틴은 물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이용하고 있다.
○ 최근 키틴을 이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나노섬유를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특히 Ifuku 등은 산과 해섬처리로 더욱 간편하게 직경 10-20㎚의 키틴 나노섬유(키틴 NF)를 쉽게 만들 수 있다. 키틴 NF화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수분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키틴 NF를 경구섭취 시킨 실험모델에서 괴양성 대장염의 억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 키틴 NF 경구섭취는 대장에서 Nuclear factor-kB의 활성화를 억제시켰다. 또 키틴 NF의 표면을 탈아세틸화(키토산화)시킨 표면 탈아세틸화 키틴 NF의 경구섭취는 실험적 비만모델에서 항비만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표면 탈아세틸화 키틴 NF는 체중증가, 혈중 leptin농도 상승과 더불어 간장의 지방 침착을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키틴 NF나 표면 탈아세틸화 키틴 NF가 기능성식품으로 가능성을 보였다.
○ 염증성장질환은 크론병(crohn's disease)과 궤양성대장염을 시작으로 하는 장관 내의 만성염증질환의 총칭으로 치료는 투약을 하지만 치료비가 고액이고 약의 부작용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키틴 NF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 본고에서 키토산의 흡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키틴 NF 제조와 모델동물실험을 통하여 항염증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앞으로 산학연 국내 관련 연구자 들이 인간에 대한 임상시험이나 작용 메커니즘을 해명하는 연구가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AZUMA Kazu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7(4)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13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