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사장애 치료의 대안:합성유전자 네트워크

전문가 제언

합성 생물학은 인간의 질병치료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폐쇄 고리 합성유전자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임상치료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합성유전자 네트워크는 기능적으로 질병상태를 탐지하기 위해 기주의 대사 작용과 통합하고 연결시킬 수 있고 자급자족하며 적시에 자동적으로 적절한 치료반응을 조정할 수 있는 합성 센서나 작동체(effector)라고 볼 수 있다.

 

합성유전자 네트워크는 현대 도시 생활에서의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과 식습관에 기인하는 비만, 타입2 당뇨병, 고혈압 그리고 고지혈증같은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대사장애로 인한 질병에 특히 희망적이다.

 

초기에 원핵생물 시스템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합성생물학 분야가 지금은 인간의 질병치료 및 임상전 연구에도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생물정보학과 합성생물학에 특별히 적용되는 컴퓨터에 의한 설계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이 분야에서의 발전 속도가 가속되고 있다.

 

생체 내에서 질병상태와 연관된 특정 신호분자, 대사산물 또는 병원체같은 내부 신호에 반응하는 치료용 인공 유전자 네트워크를 고안하는 것이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이 방법은 치료용 전환 유전자를 제어하기위해 규칙적으로 내부 신호를 껐다 켰다 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인간의 대사장애에 의한 질병은 약물치료에 주로 의존해 왔다 그러나 합성생물학의 등장으로 합성유전자를 이용한 이들 만성질환의 치료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합성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등장으로 적시에 정밀한 발현제어가 가능해 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합성생물학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으나 대사장애 치료에 관한 합성 유전자 활용 분야는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으로 많은 관심과 연구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Boon Chin He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5()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7~45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