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슬래그 처리법에 관한 주철용탕의 화학성분 변화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공업 및 기계공업이 발달하면서 철강의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각족 부품이나 디바이스의 새로운 주조품 생산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주조공업의 주철 원료는 탄소 품위가 3%이상의 선철을 사용하나 생산량 조달과 원가 측면에서 스크랩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본고는 선반가공한 절삭분을 원료로하여 KS로, 고주파유도로나 큐포라를 이용하여 용해한 용탕을 아크.슬래그 정련로에 주탕하여 정련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 고주파용해로에서 용해한 용탕중의 C 3.38%, Si 2.08%, Mn 0.31%, S는 0.043%인 용탕을 아크.슬래그 처리로에서 정련한 결과 C 3.26, Si 1.76, Mn 0.23, S는 0.005%까지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본고에서의 원료 분석이 없는 상태에서 고주파인덕션용해하여 아크-슬래그처리 열화학적으로 성분을 조절한 방법이 특징을 보였다.
○ 본고에 사용한 스크랩은 선반 등으로 가공한 절삭분 원료를 100%사용하였는데, 절삭분이 단일품이 아닐 경우 Cu, Mn, Si, S 등의 불순물이 함입되어 일반적 철 용해 정련 과정에서 탈동, 탈황 및 탈린 등의 문제가있어서 탈황, 탈린반응용 염기성 산화물이나 황과의 친화력이 강한 탈황반응은 Cu2S, FeS 등으로 반응하나 비중이 무거워서 제거하기 곤란한데, 본고는 탈황 효과가 좋은 특징이 있다.
○ 스틸, 주철 스크랩을 원료로 사용하여 용해하면 목적하는 조성을 조절하기위하여 각종첨가제를 활용한다. 탄소함량이적으면 Cr, Mo, Ti, Mn 등의 탄화물을 사용하여 카본 용해도를 높이거나 이들 금속화합물과 S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탈황 까지 고려하여 성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우리나라의 주조공업은 각종 산업 특히 자동차, 선박산업의 핵심 엔진 제조공업에 까지 크게 공헌하고 있으며 주조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조공업의 원료 선택도 문제지만 현재 각종 원료를 혼합된 상태로 활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용탕 정련과정에서 열역학적 이론에 의해 첨가제를 잘 선택하여 충실히 사용하기를 제언한다.
- 저자
- M.Sasaki, K.Sugio, T. Oki, H.Kuramoto and K.Kinoshit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87(5)
- 잡지명
- 鑄造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03~309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