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유연제 기술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2개의 소수성 장쇄 탄화수소 성분을 가진 제4급 암모늄염이 섬유 유연제 유효성분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분자당 평균 2개의 지방산 성분과 에스테르화한 알칸올아민의 제4급 암모늄염을 보통 ‘에스테르 쿼트(ester quat)’라고 호칭한다.
○ 이 글은 현재 및 장래의 섬유 유연제 기술동향을 최근의 특허를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또 소비자 시장을 겨냥한 기술개발 동향과 개발동기 및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한 것이다. 에스테르 쿼트의 구조 조작, 고분자와의 조합, 일회 헹굼으로 충분한 유연제, 유연제의 형상, 세척 시에 투입 가능한 유연제, 유연제와 같이 사용하는 향기 등 기술개발이 가져오는 다양한 이점을 정리하였다.
○ 저자는 섬유 유연제와 관련하여 최근에 공개된 특허와 등록된 특허 약 50건을 분석하였다. 인용된 특허의 출원인은 대부분 외국 대기업이며, 이들은 섬유 유연제의 기능화 및 차별화를 위하여 연구개발을 지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허정보를 검색해 보면 매년 꾸준하게 새로운 특허가 공개되고 있다. 특허문헌에 비하여 일반 저널에 보고되는 연구는 드문 편이다.
○ 국내 기업과 연구소에서도 섬유 유연제 관련 특허를 등록 및 출원하고 있다. 그러나 학술적인 논문 발표는 많지 않다. 최근에 등록된 특허의 예로는 한국화학연구원의 “디에스테르기 함유 디암모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있다. 국내에서는 ㈜피존이 오래전부터 섬유 유연제 시장을 주도하여 왔으며, 이외의 세제 생산 기업들도 섬유 유연제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 섬유 유연제 기술은 성숙된 기술이다. 그러나 선진기업들은 시장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유연제 자체의 성능에 추가하여 기능화와 차별화된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성숙된 기술이라고 해서 연구개발을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점을 증명해주는 사례라고 생각하며, 소개된 특허정보가 국내 업계의 기술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Dennis S. Murphy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8()
- 잡지명
- JOURNAL OF SURFACTANTS AND DETERGEN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99~204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