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자원 및 에너지 회수를 고려한 사용종료 매립지 관리
- 전문가 제언
-
○ 사용종료 매립지에 대한 사후관리는 침출수, 지하수, 발생가스, 매립지 안정화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주변 환경오염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인근 주민의 건강과 재산을 보호하고 매립지의 조기안정화와 효율적인 이용을 구현하는 것으로 사후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최근 매립에 대한 많은 양의 전 과정평가(LCA; life-cycle assessment) 연구가 수행되긴 했지만 연구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후속 양적평가가 필요하다. 특히, 사후관리조치에 따라, 매립지가 폐쇄된 뒤에 폐기물성분과 오염배출요인과 같은 전과정평가의 기술적 변수들이 크게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매립지의 전과정평가 관리를 고려하여 사용종료 매립지의 사후관리에 대해 더 많은 분석을 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 최근 실증적 경험에서 얻은 분석결과는 사용종료 매립지를 효율적으로 사후관리를 할 경우 폐기물 축소, 재사용, 리사이클링 등 3Rs(waste reduction, reuse, recycling)개념에서 에너지회수와 매립지개간의 추가된 5Rs(waste reduction, reuse, recycling, energy recovery and land reclamation) 개념으로 확장되어 생물다양성보존, 자원 및 에너지 회수, 지구온난화 완화에 크게 이롭다는 것을 보여준다.
○ 사용종료 매립지의 사후관리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수행해야 한다. 폐기물 성분조사, 사후환경 모니터링, 생태계조사는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상당한 재정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더해, 현장에서 공공안전을 유지하고 잠재적인 불법폐기를 예방하려는 노력이 개간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근년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사용종료 매립지가 1,170개로 나타나고 있다. 이 매립지들은 사후관리대상에서 제외된 676개 매립지와 사후관리 대상매립지 494개 매립지(단순관리 250개, 정밀조사대상 244개)로 분류하여 정비지침에 따라 관리하고 있다. 환경문제, 자원 및 에너지 회수를 포함한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하여 LCA, SWOT분석 등을 통한 사용종료 매립지의 사후관리 개선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저자
- Yu-Chi Weng, Takeshi Fujiwara, Harvey J. Houng, Chia-Hui Sun, Wen-Ying Li, Ya-Wen Ku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04()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64~373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