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접착제 시트 및 보수용 테이프

전문가 제언

건물 기둥이나 교각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환경적인 요인과 하중, 진동, 피로 등 구조적인 요인 등에 의해 시공 직후 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나 손상, 내력저하 등 구조적으로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강판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소재의 무거운 중량이나 부식문제와 함께 시공의 복잡성, 노동집약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근년에는 강판보다는 고가이지만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시트는 시공이 단순하며, 무개가 경량이고 가공성이 우수하여 보강 및 보수용 소재로서 적합하다. 초기에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등의 단일 섬유를 함침하여 보강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조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섬유를 구성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과 같은 건축구조물을 보강 또는 보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 시트 및 테이프를 제공한다. 접착제 시트는 강화섬유가 함유된 산성 수지 층(기재 층)과 염기성 접착제 층으로 구성된다. 기재 층에는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유리섬유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함유된다. 특허청구권범위를 보면, 신규 물질의 사용은 없으며, 이 특허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구조적인 면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SK케미컬이 이미 1986년부터 이 특허와 유사한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재로서 “SKYFLEX"라는 고유 상품명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극동씨앤씨, 제이엠이엔씨, (주)온성, 지엔에스건설 등에서는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 시트를 제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뿐 아니라 내진 보강재, 슬래브 보강재 등으로 공급하고 있다. 향후 기술개발에서의 유의해야 할 점으로는 섬유보강의 방향성을 고려한 배향기술 및 재료의 취성 파괴거동의 이해, 섬유시트의 전용 접착제의 개발 등을 고려해야 한다.

저자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08472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