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호주 바이오연료의 수송용연료 대체전망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는 대체연료 사업으로 폐식용유로부터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기술개발을 2,000년부터 21C -프론티어 사업으로 추진하였으며 이의 사업실행은 KIER 바이오매스센터와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100/일 규모의 플랜트를 완성함으로서 상업적인 베이스로 올려놓았다. 이 기술은 선진국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현재 바이오디젤 생산원료로 식용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없다.

 

미생물 분해성이면서 재생 가능한 형태의 바이오디젤은 식물오일이나 동물지방과 같은 자원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산 모노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있다. 이는 대체연료로서 매우 중요한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식물오일은 1911Rudolph Diesel에 의해 개발되어 처음으로 디젤연료로 사용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세계 바이오디젤 생산은 급속하게 증가하여 2011년에는 2.54×106/day에 이르렀다. 미국의 경우 최근 정제 가능한 지방의 약 8~10%를 바이오연료로 전환하여 4.5×105의 바이오디젤을 얻었다. 2008년에는 바이오디젤의 거의 20%를 동물지방과 그리스로부터 얻었는데 이는 2007년 생산의 약 2배에 해당한다. 캐나다에서는 바이오디젤 생산의 거의 90%를 동물지방과 그리스로부터 얻고 있다.

 

이 글에서는 USEIA 조사에 의하면 세계 총 수송용 연료의 3%가 바이오연료로 공급되고 있다고 한다. 그 이상 공급되면 세계 바이오연료 시장은 미국과 브라질에 의해 지배될 것이다. 그들은 수송부문에서 화석연료의 약 1/3을 바이오연료로 대체하는 것이 목표이다. 호주는 최근 바이오연료 잠재력과 기술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앞으로의 연구는 제2세대 바이오연료 생산을 상업적 규모로 개발하는 것이다.

 

저자
A.K.Azad,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31~351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