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양마의 바이오에너지 생산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국내에서 목재/바이오매스로부터 알코올을 생산하여 자동차용 연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1990년대 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주관이 되어 산학연 공동연구를 한 바 있다. 이 연구는 목재 칩을 증기 폭쇠하는 전처리기술과 이를 당화하는 효소생산기술 확보로 연료에탄올 20L/d 규모의 공장을 설치하여 운전하였다. 그 후 연료에탄올 연구는 목재자원의 수급 및 경제성 문제로 더 이상 수행되지 못하였다.
○ 리그노셀룰로오스를 바이오정제를 거쳐 바이오연료, 바이오생산물 및 화학약품을 생산하는 개념은 약 70년 이전에 생겼다. 오랜 개념에 대한 최근의 관심은 석유 및 화석에너지를 바이오매스에너지로 대체함으로써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리는 데 있다. 몇몇 연구자들은 현대 기술로 리그노셀룰로오스로부터 바이오연료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 제2세대 연료는 이용 측면에서 폭넓은 변화를 보이고 있어 리그노셀룰로오스 원료 및 최종 생산물인 가스 혹은 액체연료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제2세대 바이오연료의 주원료는 목초와 같은 비식용작물로 충당할 수 있고 또한 성장이 잘 되는 단기 회전 살림에 의해서도 공급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 폐기물 잔사로부터의 제2세대 바이오연료는 앞으로 10~15년 이내 시장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이 글에서는 양마는 높은 셀룰로오스 함량과 낮은 리그닌 함량 때문에 바이오연료 생산원료로서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양마의 평균 바이오매스 생산수율은 약 12.35~18.53t/ha이며 최근 미국의 파일럿 실험연구에서는 양마 1kg로부터 약 18,000kJ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론적으로 양마는 61.4gal-바이오연료/ton biomass를 생산할 수 있다.
- 저자
- N. Saba, et.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2()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46~459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