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화스트레스를 통제하는 식품기능성분의 활성발현기구

전문가 제언

세포내 정상적인 산화환원상태에 교란이 생기면 과산화물 등 활성산소종이나 자유라디칼이 생성됨으로 단백질, 지질, DNA, RNA 등을 포함한 모든 성분에 상해를 입혀 독성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산화스트레스라고 한다. 산화스트레스는 여러 가지 질병상태는 물론 자연적인 노화과정과 관련이 있다.

 

본래 자유라디칼이나 활성산소종은 모든 생물에서 생산되며 신호전달, 산소분압감지 그리고 산소농도에 의해 조정되는 여러 가지 기능조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은 물론 에너지와 필수물질합성에서 필수적이다. 또한 병원균을 공격하여 사멸시키는 면역시스템에 이용되기도 하지만 지나친 육체운동이나 당뇨병과 같은 어떤 질병에 따라서는 과도하게 생성됨으로 질병이나 노화를 더욱 악화시키기도 한다.

 

이런 경우 활성산소종이나 자유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해 생체는 이미 내생적 항산화 시스템(: Thioredoxin )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지나친 운동이나 질병에 의해 생체의 산화환원 항상성이 교란되면 과도한 활성산소종이나 자유라디칼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서 항산화제를 주입해야 한다.

 

산화환원 항상성의 교란에 의한 질병이나 장애는 그 범위가 너무나 광범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바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허브류(야콘 등), 과일껍질, 식물성 유지 등 광범위한 소스의 천연항산화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활성산소종의 바이러스 사멸에 대한 유익성도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생체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식품기능성 성분인 황산화제를 올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체 측의 산화스트레스 현상이 나타나는 병소의 동정과 항산화제 측의 생체 내 동향을 정확히 밝혀내어 표적치료를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체 내 산화환원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
Jumji Ter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68(1)
잡지명
日本榮養食糧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11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