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배양 발효대사에서 휘발성 지방산 생성에 대한 pH와 체류시간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의 목적은 혐기성 혼합배양 발효과정에 있어서 휘발성 지방산생성에 대한 pH와 체류시간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 대부분의 생물공학적 과정은 공정변수가 미생물의 특정 균주를 위해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순수 배양발효공정을 이용한다.
○ 그러나 순수 배양발효는 살균 운전조건과 고품질의 원재료가 요구되는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
○ 휘발성 지방산은 혐기성 소화과정 중 중간 생성물이지만, 보다 진전된 최종제품을 위한 소중한 기본물질이 될 수 있다.
○ 국내의 경우 휘발성 지방산의 생성 및 회수를 위한 분리 막의 유효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결과가 있다.
○ 혐기성 발효액의 고액분리 및 발효효율 향상을 위한 분리 막의 적용은 발효조 내의 관련 미생물 농도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분리 막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기산 생성효율이 훨씬 증가하였다. 분리막이 결합된 산 발효조의 적용은 유기성 슬러지로부터 휘발성 지방산의 회수 효율증대에 효과적인 적용기술이라 판단된다.
○ 혼합배양 발효대사는 생화학물질 생성에 매력적인 공정이 될 수 있지만, 원하는 휘발성 지방산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2∼3단계 공정으로 계획하여야한다. 즉, ①폐 활성슬러지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늘리고, pH를 알칼리 환경으로 만들고, ②butyrate를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짧게 하며 pH를 산성으로 하고, ③바이오가스는 pH 중성에서 잔여유기 화합물로부터 생산하는 것이다.
- 저자
- Ewelina Jankowska, Joanna Chwiałkowska, MIikołaj Stodolny, Piotr Oleskowicz-Popie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90()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74~280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