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조성을 갖는 콘크리트의 감마선 차폐 비교
- 전문가 제언
-
○ 원자로, 원자력 연구시설과 의료 진단센터 및 핵폐기물 저장사이트 등과 같은 원자력 시설물에는 감마선에 노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표준 허용수준까지 외부방사선 강도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며 차폐재의 감쇠특성이 아주 중요한 변수가 된다.
○ 최근에 원전 안전성이 중요 이슈로 떠오른 만큼 콘크리트를 통한 구조물 보강에 더욱 관심을 두고 있다. 콘크리트 재료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질량감쇠계수(mass attenuation coefficient)가 큰 특성을 가지며 차폐재로서 매력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이곳에 소개하는 연구는 차세대 재료개발의 일환으로 방사선 차폐효율성과 구조 관점에서 콘크리트의 조성을 바꾸어 방사선 차폐성능을 개선시키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소개하였다.
○ 국내·외 콘크리트의 제조 및 활용기술은 크게 사용 환경과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큰 진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에는 격납용기용 고성능 콘크리트 연구와 여러 유형의 콘크리트의 차폐특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 INEEL은 감손 우라늄산화물을 활용한 DUCRETE를 개발 차폐재로 활용하며, 일본에서는 방사선 차단효과가 높은 플라스틱과 금속을 혼합시켜 만든 복합재료가 개발되기도 했다.
○ 국내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고기능성 차폐재로 산화철이 첨가된 방사선 차폐벽돌 연구와 나노텅스텐 분말을 고분자 수지에 분산한 복합재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남대 중량콘크리트의 방사선차폐에 관한 연구, 한양대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한 콘크리트에 관한 기초연구 등이다. 쌍용양회공업주의 방사선 차폐용 중량콘크리트의 기초특성, 현대건설의 고인성 콘크리트와 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 우리도 해외 원전시장 진출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며 개발되는 기술은 국산 원자로의 안전성 향상과 수출경쟁력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El-Sayed A. Waly, Mohamed A. Bourham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85()
- 잡지명
- Annals of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06~310
- 분석자
- 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