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에서 억새 분류군의 침입 및 전파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억새 분류군은 바이오연료 작물과 식물복원으로 널리 도입되었다. 가장 전망이 있는 후보식물은 참억새(Panicum sinensis), 3배체 억새(M. × giganteus)와 참억새×물억새(P. sacchariflorus) 일본 수집종이다. 억새는 바이오연료 작물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재배면적은 최근에 유럽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많은 결실 능력이 있는 품종이 재배되었으며 과거 50년 동안 적어도 50품종이 재배되었다. 독립된 다중도입은 전파잠재력을 증가시키는 강력한 수단이 되었을 것으로 알려졌다.
○ 미국에서 억새 초종의 재배는 참억새와 물억새의 높은 침입 위험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규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유럽에서는 2011년에 참억새를 침입외래식물로 고시하였으며 독일에서 참억새와 물억새는 경계식물로 그리고 이태리에서는 제한식물로 제안되고 있다.
○ 과거의 교훈은 대규모 바이오연료 작물로서 예견되는 왕성히 자라는 외래식물은 높은 침입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새로운 바이오연료 작물에 의하여 야기되는 환경위험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결심 결정에 이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억새 초종의 침입 가능성은 충분히 평가할 필요성이 있으며 유럽과 미국에서 최초 침입을 모니터링 하여야 하며 필요하면 재배제한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거대억새 1호와 억새의 대량 증식방법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연료펠릿용이나 바이오에탄올 생산 공정 개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억새를 비롯한 바이오에너지 작물에 대한 환경 위해성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주기적으로 평가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 저자
- A. Schnitzler, F. Ess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5()
- 잡지명
- Weed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1~225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