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도화 하는 접착기술

전문가 제언

자동차 분야에서는 CO2 배출량 삭감을 목적으로 하여 경량차체의 개발이 필수로 되어 있으며, 강철, 알루미늄, FRP, FRTP 등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멀티재료 구조로의 이행이 계속 진전되고 있다. CO2 삭감으로의 진입은 자동차나 철도차량 등의 각종 이동물체의 경량화뿐만이 아니고, 전력 총발전량의 60%를 소비하고 있는 모터의 영구 자석화에 의한 에너지절약화도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들의 개발에 있어서는 이종재료의 접합기술이 중요하고, 종래의 접합법이 변하여 접착접합이 주목되고 있으며, 새로운 접착제도 여러 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요즈음, 접착제가 가지는 고유 기능 이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고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기능을 가지는 각종 기능성 접착제가 있다. 접착제의 기계적 기능인 내충격성, 내진성 등은 자동차, 항공기, 로켓 등에 사용되며, 전자산업, 항공우주산업 등에 있어서는 내열성이 부여된 접착제의 사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는 초전도체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 등이 실용화 될 경우, 극저온 접착제가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극저온 접착제는 주로 폴리우레탄 계통과 에폭시 계통이지만, 새롭게 실리콘수지 계통, 불소 계통 또는 포스파젠(Phosphazene) 계통 등의 저온에서도 고무탄성을 나타내는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외에도 전자산업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접착제, 건축분야의 난연성 접착제, 광학기능성 접착제, 투광성 접착제(광섬유렌즈 등의 접착), 그리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제2 세대, 3 세대라고 불리는 아크릴 변성수지 계통이 개발되었고, 서서히 상용화 되고 있다.

 

현재, 기능성 접착제는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범용 접착제는 후발 개발도상국들이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기술개발 동향에 있어서, 우리나라도 부가가치성이 높은 고기능성 접착제 기술개발에 있어서 산학연의 활발한 연구개발을 위해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기대된다.

저자
Kosuke HARAG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6)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5~29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