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금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의 관리와 정보전달

전문가 제언

도금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관리와 정보전달이 요구되고 있다. 도금제품은 화학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품이기 때문에 제품내부에 함유된 화학물질을 적절히 관리하여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 자동차나 전자제품의 도금부품에도 안전성과 유해성에 관한 자동식별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2011년 일본 표면처리 도금공업 조합연합회에서는 도금제품 가이던스에 도금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관리지침을 밝혔다. 2011년 일본의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에서도 전기전자 기기에 납, 수은, 카드뮴, 폴리브롬화 비페닐,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스테르의 여섯 가지 물질의 함유를 규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에는 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IT융합을 실현한 가이드라인이 출판되었다.

 

국내 K도금업체는 자동차 부품에 크롬산, 질산과 염산의 혼산을 사용하여 크롬도금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제품에 도금하는 아연이나 크롬도금 제품에는 6가 크롬이 함유될 수 있다. 6가 크롬이 제품에 함유되면 연골을 용해하고 암을 유발하기도 하기 때문에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물질이다. 향후 도금제품의 6가 크로메이트를 3가 크로메이트로 대체하거나 주석과 같은 친환경성의 도금으로 대체함으로써 유해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015년 국내에서도 화평법이 발효되면서 도금, 복사기 토너, 산업용 화학물질, 세탁세제 등, 모든 화학물질과 도금제품에 화평법(Korea REACH)법이 적용되고 있다. 2013년 국내의 Roadpia사는 도금제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도금제품에 자동식별 시스템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도금제품에 함유된 유해물질 감소와 함께 친환경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도금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의 성분을 수시로 전달,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정보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Joint Article Management Promotion-consortium(JAMP), Management Guideline Creation Committe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5)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2~186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