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성능 에너지 절감 스마트 윈도우를 위한 WO3와 TiO2의 코어-쉘 나노구조체

전문가 제언

건물의 에너지 소비는 통상 국가 에너지 소비의 약 40%에 달한다. 건물 내 창호를 통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스마트 윈도우 기술 중 전기변색은 신뢰성이 가장 높고 TiO2WO3는 우수한 전기변색 특성 및 환경정화 등의 특성을 보유하여 오래전부터 깊게 연구되어 왔다.

 

TiO2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분해를 위한 자외선 조사 이용 광촉매로 유명하지만 광유기 전자-정공쌍의 재결합이 쉽고 착색시간이 길며 띠간격이 3.2eV로 태양에너지의 5%만 이용한다. 전기변색의 왕자 비정질 WO3에서 이온출입, 다공성 등을 향상하기 위해 나노와이어(NW) 등의 적용이 연구되고 있는 중에서 WO3TiO2의 나노와이어(NW)를 결합한 코어-쉘 나노구조체 연구(띠간격 2.8 eV)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 글에서 저자들은 WO3/TiO2 NW의 코어-쉘 나노구조체의 제조, 특성 그리고 유망 응용 등을 소개하고 있다. 제조는 간단하다. ITO 유리 기판에 텅스텐(W)박막을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아르곤 가스 흐름 속에서 증착한다. 이어 550에서 약한 진공의 질소분위기 로에서 열처리하여 코어용 WO3 NWITO유리에 형성한다. 이 위에 Ti박막을 증착하고 Ti/WO3를 질소/산소의 흐름 속에서 550의 약한 진공에서 1시간 열처리로 WO3/TiO2 코어-쉘 나노구조체가 합성된다.

 

코어-쉘 나노구조체는 WO3 NW에 비해 탈색시간은 2.8초로 비슷하지만 착색시간이 0.7초로 훨씬 빨라졌다. 가시광투과도의 변조폭도 약 41%로 향상되고 착색효율도 약 3배로 높아져 전력의 소모가 적어진다. 낮아진 띠간격으로 흡광 파장영역이 넓어져 광촉매 활성이 강화된다. 금후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극인 TiO2는 전기변색전극인 WO3와 결합되어 한 소자 내에서 전기를 얻어 스스로 태양광세기에 맞춰 투과도를 변화시키는 차세대 스마트 윈도우가 성공되기를 바란다.

 

한국의 WO3-TiO2 관련 기술개발은 활발하다. 2013년 충남대 김효진 등이 다공성 WO3-TiO2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양호한 전기변색 특성을 보고했다. 벤처기업 켐웰텍은 2005년 가시광 응답형 WO3-TiO2 광촉매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태양전지, 유기물 분해 등에 상용화하고 있다.

 

저자
Bohr-Ran Hu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33()
잡지명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2~38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