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접착을 제어하는 기능성 겔의 개발

전문가 제언

물체와 물체의 접착에 있어서 계면에서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이 작용하고 있다. 하나는 기계적 상호작용이다. 표면의 미세한 요철(凹凸)에 액체의 접착제가 도입된 후에 고화되는 것으로 2개의 피착체와 접착제가 일체로 되며 접착력이 발휘된다. 한편, 접착에는 화학적 상호작용도 크게 관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소결합, 정전상호작용, 분산력 등 분자레벨의 힘이 인력으로 작용한다.

 

현재, 공업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접착제가 특정한 용도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관련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개발이 진전되고 있다. 특히 특정한 접착제를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는 신발 산업분야에 있어서 접착제와, 요즈음 새로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신발용 접착제는 신발의 부품조립에 사용되는 폴리클로로프렌 계통 및 폴리우레탄 계통이 대표적이다. 폴리클로로프렌 계통은 용제형으로 클로로프렌 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아크릴 모노머로 개질된 그래프트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계통은 톨루엔이 함유된 용제형과 수분산체가 함유된 수성형이 사용되고 있다.

 

의료용 접착제는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특히 생체적합성이 요구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생체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에 대해서 독성과 위해성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보다 엄밀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 소재가 적용되고 있다. 특히, 봉합용의 순간접착제로 메틸-2-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수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피브리노겐은 피브린 글루(Fibrin glue) 형태의 접착제로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폴리이소부틸렌,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경피 흡수제용 무용제형의 에멀젼접착제 및 인체 내부의 점막을 통해서 약물이 전달되도록 점막 점착성 고분자 소재의 개발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산학연이 의료용 접착제 개발에 더욱 정진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기대한다.

 

저자
Takashi NAKAMURA, Akira HARA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6)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1~55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