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고와 학술정보에서 인식된 특정 보건용 식품의 보건용도

전문가 제언

일본의 특정보건용식품(이하 특보식)은 식품이 가지는 생체방어, 질병 예방 및 회복, 노화방지 등의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식생활에서 오는 생활습관병의 위험 요인의 감소 및 제거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건강 기능을 표시하는 식품으로 되어있다. 소비자들은 광고표시에 대한 특보식의 표시내용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 중 식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건강과학분야의 교육을 받은 사람의 30%가 특보식의 보건용도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품표시의 최고의 관심은 젊은 여성들의 비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체지방억제의 보건용도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진 대상자는 보통체중인 보다 비만 가능성인 사람들이다. 비만 가능성인 사람들은 특보식의 제품정보에서 전문용어에 의한 구체적인 BMI 등의 수치를 제시한 자료에 선호도가 높았다. 과학계 대상자들은 광고표시에서 전문적인 용어나 구체적인 수치 방법을 선호하였고, 일반 소비자는 알기 쉬운 표시방법의 요구가 많았다.

 

전문 지식이 부족한 일반 소비자들도 전술한 바와 같은 조사를 하면 특보식의 대상자로 바르게 인식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도 과학계의 전문가 집단을 표본으로 삼아 학술정보에서 인식된 자료를 광고표시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배윤정(2014)은 “성인남녀에서 영양표시 활용 정도에 따른 영양섭취 및 식사의 질 평가”에서 소비자들이 영양표시를 읽지 않은 경우 음주 빈도가 높고, 우유 제품의 섭취빈도가 적은 것을 발표한 바 있다. 김지연(2013) 등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인정 내용의 표시광고 허용 수준연구”에서 원료의 광고 문구 표시를 발표한바 있으나, 전문적인 수치나 문헌자료를 통한 표시사항 등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소비자들은 과학적으로 검증된 특보식 상품이나 기능성이 표시된 식품에서도 누가 어떻게 먹더라도 효능이 있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그 효능이 보증된 식품이 아니라는 것을 충분히 인식시키기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Taro Murakam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68(2)
잡지명
日本榮養食糧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3~81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