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Zhejiang 지역의 산사태 개시를 위한 강우강도 및 강우시간 임계값
- 전문가 제언
-
○ 중국 남동부 연안지역에 위치한 Zhejiang 지역은 그의 지질적, 지형적, 기후환경 때문에 강우에 의해 촉발되는 산사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강우와 산사태와의 관계는 강우에 의해 유도된 산사태를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 이 연구는 전체 Zejiang 지역과 그 지역 내 62개 소구역에 대하여 1990∼2013년에 일어난 1,569개의 천부 산사태와 그에 해당되는 2,457개의 우량계에 기록된 정밀 강우기록에 근거해서 산사태를 촉발하는 강우강도-강우시간의 임계값을 정의하고 있다. 그 결과는 강우임계값이 공간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지시하고 1∼24h 강우시간에 대해 임계값은 Zhejiang의 북서부에서 남동부 연안지역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서부 및 남부 산악지역의 임계값보다 중앙부와 연안지역에서 임계값이 낮은 것을 보여준다.
○ 공간적으로 임계값 변화는 경사지를 형성하는 물질과 지형의 경사도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다. 서로 다른 토양타입은 서로 다른 임계값을 갖고 풍화암의 임계값은 일반적으로 토양의 임계값보다 높다. 경사지의 토양-풍화암에 대해서 경사각이 <300 일 때 경사도는 임계값에 큰 영향이 없으나 경사각의 범위가 300∼400의 범위에서는 임계값은 경사각이 증가되면서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경사각이 >400 일 때 전체적으로 임계값은 경사각이 증가되면서 빠르게 줄어든다. 이러한 발견은 지역적 강우촉발 산사태의 경고시스템 개선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강우기준 등 산사태 재해 실시간예측 및 대응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를 비롯하여 관련학회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산사태 예측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많은 예산을 들여 지원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높고 산악지역까지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역적 강우촉발 산사태 경고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 저자
- Tuhua M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245()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93~206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