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자실장을 위한 접합재료 기술

전문가 제언

전자디바이스에는 다종다양한 이상계면이 존재하며, 그 계면을 통하여 전기나 열 등의 수송특성 제어를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접합 신뢰성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즈음, 전자디바이스의 고성능화나 다양화가 급속히 진전되었지만, 접합재료나 접합기술은 디바이스의 진화를 지탱하는 중요한 기술 분야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체를 접착시키는 경우, 물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서로 붙인 후에 접착제가 고화되어야 한다. 이때 접착제는 처음에는 액상이지만, 나중에는 떨어지지 않고 또한 접착제 자체가 파괴되지 않는 고분자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사용목적에 따르는 접착제는 다음과 같은 3종류로 대별된다.

 

, 물에 용해시킨 녹말풀, 가솔린에 용해시킨 고무풀, 시너에 용해시킨 폴리아세트산비닐계와 같이 고분자를 용액으로 사용하는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비스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처음에는 액상의 저분자가 붙은 다음에는 중합반응으로 고분자가 되는 접착제, 고체상의 고분자를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Hot melt method)에 붙이는 접착제이다.

 

이외에도 필름상태 접착제로 페놀계통 수지를 얇은 종이에 흡수시켜 고체 사이에 넣고 압착가열시키든지, 또는 유리와 유리를 접착시키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수지를 얇은 막으로 하여 사이에 삽입시키든지, 금속의 경우에는 에폭시수지를 유리포에 적셔서 사이에 넣고 압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소수지는 저분자이지만, 수용액으로 합판에 도포하여 합판의 다듬질에 쓰든지, 조합해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이때 바인더는 코르크의 분말로 큰 성형물을 만드는 경우에 있어서 섬유를 모아 부직포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우리나라도 더욱 산학연간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접착산업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기대한다.

저자
Masahiro INOU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6)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43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