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체중심 무선통신을 위한 소형 이중모드 착용형 안테나

전문가 제언

생리학적 센서, 저전력 집적회로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세대의 무선 센서네트워크가 등장하여 교통, 농작물, 사회기반구조,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체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저렴하고 지속적이며 실시간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감시하고 진단하고 치료를 수행하는 지능형 건강관리 분야가 응용 잠재력이 큰 것으로 간주된다.

 

전형적인 인체통신 네트워크는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동작 감지기, 프로세서, 송수신기 및 전원 등으로 구성된다. 착용형 무선 인체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의복이나 인체에 부착하거나 이식한 다수의 지능형 생리학적 센서가 심전도, 심박 수, 체온, 혈압, 혈당, 운동량 등 각종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인체 외부의 기기에 전송한다.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의사는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환자에게 즉시 적절한 지침이나 경고를 내린다.

 

본고에서는 인체에 부착한 센서로부터 무선으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외부의 기기로 무선 전송하는 착용형 이중모드 안테나를 제시하고 있다. 10MHz -바디 모드에서 수신전압을 분석하며,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의 오프-바디 모드에서 반사계수와 방사패턴을 검토하여 의료분야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무선 인체통신 네트워크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확산의 촉매가 될 차세대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IEEE 802.15.6로 표준화 되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2009년에 무선 인체통신 네트워크 표준화위원회를 통해 국내 표준화를 완료하고, 2010년에 ETRI, 삼성전자, KETI 등과 공동작업으로 IEEE 표준()에 반영시켰다. 현재 무선 인체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수준이나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은 제한적이며, 진정한 의료분야 응용의 실현을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Chia-Hsien Lin, Koichi I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4
권(호)
3()
잡지명
Electro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398~408
분석자
송*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